본문 바로가기
정보공유

2023년 새해 만 나이 기준 알아보기

by 더원스미 2022. 12. 31.

2023년 새해를 맞아 드디어 한국식 나이세기가 없어지고 만 나이 통일법으로 변경된다는 기준안이 발표가 되었습니다. 공식적으로는 2022년 12월 27일에 공포를 하였는데요.

결론적으로는 2023년 6월 28일부터 본격적으로 만 나이 시대가 열리게 됩니다.


만 나이 세는 법
만 나이 세는법

만 나이 통일법 도입 및 계산방법

지난 12월 8일부로 국회 본회의에서 만나이로 통일하는 민법 개정안아 통과되었습니다. 이번 개정을 통해 "만 나이로 계산하고 연수로 표기하며, 혹 1세에 이르지 아니한 경우는 월수로 표기할 수 있다"로 개정이 되었습니다.


그래서 생일이 1월1일이신 분이 아니라면 우선 새해가 되면서 최대 2살이 어려지게 됩니다. 물론 법 시행이 6월 28일로 결정되어서 바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지만 마음이 젊어지는 것 같습니다.





만 나이 계산법

만 나이를 계산하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기존 한국식 나이세는 방식에서 간단하게 계산을 하면 되는데요.


현재연도가 2022년 그리고 출생일이 1999년이라고 가정한다면 "2022 - 1999 = 23"으로 만약 생일이 지났으면 그대로 23살이 되고 생일이 지나지 않았으면 -1살을 하셔서 22살이 되게 됩니다.


기존 우리가 만 나이로 계산하는 방법을 그대로 도입해서 2023년부터는 현재 나이로 사용이 가능하십니다.


만 나이 계산기

계산하기 귀찮으신 분들은 온라인 검색으로도 만나이 계산이 가능합니다.


만 나이 계산기 바로가기


위 안내드린 링크를 클릭하시면 출생일 그리고 기준일을 입력하셔서 나이 계산이 가능합니다.


한국식 나이 계산의 이유

마지막으로 왜 이렇게 나이를 계산하게 되었는지에 대해 조금 더 알아보려고 합니다.


역사적으로 중국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고 하는데요. 그 내용은 '동아시아 나이 계산법'으로 한국, 일본, 베트남 등 한자 문화권 국가들 사이에서 전통적으로 통용되어 사용되었다고 합니다.


동아시아 나이 계산법은 임신하는 순간부터 나이를 먹기 시작해 태어난 순간 한 살이 된다는 해석으로 시작이 되었다고 합니다. 또한, 0이라는 숫자의 개념이 한자 문화권에는 없었기 때문에 한 살부터 시작했다는 설도 있다고 합니다.


현재는 대한민국만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동아시아 나이 계산법'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정확한 이유를 알 수는 없겠지만 유교적 문화의 영향도 있다고 합니다.


또한 징병제의 이유도 들 수 있다는데요. 외국처럼 만 나이를 적용하면 징병 시기를 일괄적으로 적용하기가 까다로운 부분이 있는데 태어난 연도를 기준으로 하면 일괄적으로 징병할 수 있어서 현재까지도 사용하고 있는 것이라고 합니다.


아무튼 나이가 들어가는 입장에서는 나이가 어려진다니 좋기는 합니다만, 여태까지 사용된 이유도 분명 존재할 것이라 안정적으로 잘 정착되는 정책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럼 오늘도 감사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