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공유

공무원 연금 수령액 지급연령 조건 알아보기

by 더원스미 2023. 4. 7.

공무원 연금과 수령액에 대한 내용은 항상 회자가 되는 내용입니다. 그만큼 공무원 연금이 차지하는 중요도가 크고 그로 인해 공무원이라는 직업을 선택하는 사람들도 많다는 이야기입니다.

 

 

오늘은 연금 수령액, 지급연령 그리고 조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공무원 연금
공무원 연금

 

공무원 연금 수령 조건

공무원 연금을 수령하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이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그 조건은 '10년 이상 재직과 기여금 완납'이 두 가지 조건을 충족하면 연금 수령을 시작할 수 있는 나이부터 사망 전까지 공무원 연금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여기서 '기여금' 이라고 하는 것은 일반 직장인들이 국민연금을 수령하기 위해 납부하는 세금처럼 퇴직공무원에게 지급할 연금 그리고 공무원 유족의 급여 지급을 위해서 사용되는 금액입니다.

 

일반 직장인분들이 내시는 것과 비슷하지만 명칭은 조금 어렵네요. 그리고 매월 받는 급여에서 9%를 납부하게 됩니다.

 

 

공무원 연금 수령 나이

퇴직연도 지급개시연령
2016 ~ 2021년 60세
2022 ~ 2023 61세
2024 ~ 2026 62세
2027 ~ 2029 63세
2030 ~ 2032 64세
2033년 이후 65세

공무원 연금 수령 나이는 1996년 이후 임용자부터 단계적으로 연장이 되었는데요. 현재는 2016년 이후 그리고 2021년 이전 퇴사하시는 분들은 60세부터 공무원 연금을 수령하실 수 있습니다.

 

2015년 공무원 연금에 대한 개혁이 시작되면서 2033년 이후 퇴직자분들은 65세부터 연금지급이 가능하니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공무원 연금 수령금액 확인하기

공무원 연금 수령금액은 임용시기 그리고 재직시기에 따라 달라지게 되어 표로 확인해 보겠습니다.

구분 현행유지시 연금수령액 개혁 후 연금수령액
9급 공무원 1996년 임용, 30년 재직 200만 원 193만 원
2006년 임용, 30년 재직 169만 원 153만 원
2016년 임용, 30년 재직 137만 원 134만 원
7급 공무원 1996년 임용, 30년 재직 243만 원 232만 원
2006년 임용, 30년 재직 203만 원 177만 원
2016년 임용, 30년 재직 173만 원 157만 원

 

이렇게 2015년 공무원연금 개혁 이후 기여금 부담이 7%에서 9%로 상향되었고 연금지급 금액도 재직기간에 따라 달라지게 되면서 금액이 줄어든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현재 상황에 따라 공무원연금 금액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하게 계산하실 수 있도록 링크 공유드릴 테니 여기서 조회해 보시면서 필요하신 부분을 확인해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공무원 연금 계산기
공무원 연금 계산기

공무원 연금 조기수령 가능할까?

 

공무원 연금 조기수령은 가능합니다. 다만, 언제 조기수령을 하느냐에 따라 감액이 되게 되어있는데요.

조기수령 시기 감액 비율 연금 지급율
4년 초과 ~ 5년 이내 25% 75%
3년 초과 ~ 4년 이내 20% 80%
2년 초과 ~ 3년 이내 15% 85%
1년 초과 ~ 2년 이내 10% 90%
1년 이내 5% 95%

사실 연금이라는 게 지급받을 시기가 되었을 때 받는 것이 가장 좋기는 하지만 각자의 사정에 따라 그렇지 못한 경우도 있습니다. 그럴 경우에는 위 표를 참고하시어서 조기수령하였을 때 어느 정도 손해를 감수해야 하는지 확인해 보시고 결정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공무원을 위한 연금수급권자를 위한 여신상품 프로그램들도 생각보다 많은 것 같더라구요. 다음에는 이 내용도 한 번 같이 공유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은 이렇게 공무원 연금 수령액 및 지급연령 및 조건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공무원 실업급여 알아보기

공무원은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는지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공무원은 고용보험에 가입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실업급여 대상이 아닙니다. 일반 사기업은 정년퇴

1theone.com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