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공유

공무원연금 10년 재직 공적연금 연계제도 알아보기

by 더원스미 2023. 4. 9.

공무원연금을 수령하려면 10년 이상 재직을 해야 수령할 수 있습니다. 길게 느껴지시나요? 하지만 기존에는 20년을 근무해야 연금을 수령할 수 있었기 때문에 10년이면 많이 완화가 된 상태입니다.

 

 

그럼 공무원으로 10년 이전에 퇴사를 하게 되면 아에 연금수령을 하지 못할까요? 오늘은 10년 재직과 공적연금 연계제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게요!

 

공무원 공적연금 연계제도
공무원 공적연금 연계제도

공무원 연금 수령조건은 10년 재직

공무원 연금을 수령하려면 10년을 재직해야 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기존에는 20년을 재직해야 받을 수 있었지만 2022년부터 10년으로 변경이 되었기에 그나마 완화 된 조건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럼 10년을 재직하지 못하면 연금을 받을 수 없을까?' 라는 생각을 많이 하실 것 같습니다. 사람일 모른다고 정말 일이 맞지 않거나 여러 사정으로 퇴직을 하게 될 수도 있기 때문이에요.

 

그래서 공적연금 연계제도라는 것이 있습니다. 지금부터 이 연계제도에 대해서도 한 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공적연금 연계제도에 대해 알아보기

공적연금 연계제도란 국민연금을 제외한 '직역연금(특정조건에 따라 주어지는 공무원, 사립학교 교직원, 군인 및 별정 우체국, 경찰 및 소방공무원 등)' 의 해당되는 직업을 가진 사람들이 10년이라는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였을 때 국민연금과 연계하여 연금을 받을 수 있도록 만들어 준 제도입니다.

 

그래서 공무원으로 재직 중 약 8년을 근무 후 퇴직하게 되면 2년이라는 시간이 비게 되는데 그 2년을 일반 사기업에 취업하여 국민연금을 납부하면 연금을 수급할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집니다.

 

다만, 아쉽게도 아직 군인 공무원 분들은 연계제도를 이용하더라도 20년을 채워야 공적연금 연계제도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공적연금 연계제도를 이용하면 얼마를 받게될까?

공적연금 연계제도를 이용하면 아무래도 계산법이 조금 복잡할 수 있습니다. 공무원연금과 국민연금은 납입하는 금액자체가 다르기 때문이기도 하고 공무원일 때 납부한 금액과 국민연금으로 납부한 금액이 운용되는 방식도 분명 다르기 때문일텐데요.

 

공적연금 모의계산
공적연금 모의계산 바로가기

다행히 편리하게 모의계산을 해볼 수 있는 사이트가 있어서 위 링크를 통해 모의계산을 해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오늘은 공적연금 연계제도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사실 세상에는 많은 일들이 일어나고 있는데 모르는 부분이 참 많은 것 같습니다. 앞으로도 좋은 정보로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0